본문 바로가기
Ureal Engine

언리얼 엔진(Unreal Engine) 입문 방법, 무엇이 있을까?

by kamiru 2023. 4. 18.

언리얼 엔진 (Unreal Engine)은 게임 개발, 시뮬레이션, 영화 및 미디어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3D 엔진입니다. 이러한 언리얼 엔진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대표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최근에는 언리얼 엔진 5를 통해 더욱 다채로운 표현과 인공지능 기반 편의성을 제공합니다.

 

1.공식 문서 활용하기

Unreal Engine 공식 문서 (https://docs.unrealengine.com) 에서는 엔진의 기능과 사용 방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여기에서 기본 개념, 프로그래밍 가이드, 엔진의 주요 기능, 블루프린트 시스템 등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.
 
언리얼 엔진 공식 문서에는 기초부터 심화까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
 

2.블루프린트 시스템

언리얼 엔진의 비주얼 스크립팅 시스템인 블루프린트를 사용하면, 별도로 C++를 학습하거나 직접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게임 로직을 만들 수 있습니다. 블루프린트를 통해 게임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제작하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 

또한, 노드 기반의 인테페이스로 구성되어, 초심자는 이를 통해 게임의 로직 플로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특징은 추후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학습 및 UnrealScript 활용 시 활용할 수 있는 영감을 제공하여 줍니다.

 

언리얼스크립트 / 블루프린트 / C++의 특장점

 

블루프린트 클래스 생성:
언리얼 에디터에서 '콘텐츠 브라우저'를 엽니다.
우클릭 후 '블루프린트 클래스'를 선택합니다.
블루프린트의 기본 클래스(예: Actor, Pawn, Character 등)를 선택합니다.
새로운 블루프린트에 이름을 지정하고 'Create'를 클릭합니다.


블루프린트 에디터 사용:
생성된 블루프린트를 더블클릭하여 블루프린트 에디터를 엽니다.
에디터에는 다음과 같은 영역이 있습니다.
뷰포트: 블루프린트에서 사용할 객체를 시각적으로 배치하고 수정합니다.
그래프: 노드를 연결하여 게임 로직을 작성하는 영역입니다.
상세 패널: 선택한 객체나 노드의 속성을 수정하는 영역입니다.


그래프를 사용하여 로직 생성:
블루프린트 에디터의 그래프 탭에서 로직을 작성하려면 다음과 같은 단계를 수행합니다.
이벤트 노드(예: BeginPlay, Tick, OnCollision 등)를 그래프에 추가합니다.
이벤트에 기능을 연결하기 위해 함수 노드를 추가합니다(예: 'Print String', 'Spawn Actor from Class' 등).
노드를 연결하기 위해 이벤트 노드의 출력 핀에서 함수 노드의 입력 핀으로 드래그합니다.
필요한 경우 변수를 생성하고, 노드에 연결하여 값을 저장하거나 변경할 수 있습니다.
조건문(예: Branch)이나 반복문(예: ForEachLoop)을 사용하여 복잡한 로직을 구성할 수 있습니다.

 

블루프린트를 게임 월드에 적용:
콘텐츠 브라우저에서 작성한 블루프린트를 찾아 선택

 

3.비디오 튜토리얼:

인터넷에는 언리얼 엔진에 대한 많은 비디오 튜토리얼이 있습니다. 공식 Unreal Engine YouTube 채널 (https://www.youtube.com/user/UnrealDevelopmentKit) 및 다른 동영상 강의 사이트에서 유용한 리소스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4.커뮤니티 및 포럼:

언리얼 엔진 커뮤니티와 포럼 (https://forums.unrealengine.com)에서는 다른 개발자들과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. 질문을 하거나 이미 다른 사람들이 했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.

 

5.샘플 프로젝트:

언리얼 엔진 런처를 통해 다양한 샘플 프로젝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언리얼 엔진의 기능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 

6.온라인 강좌 및 워크숍:

여러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서는 언리얼 엔진에 관한 강좌를 제공합니다. Udemy, Coursera, LinkedIn Learning 등의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.
 

댓글